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65세 이상 노인들은 지하철 뿐 아니라 버스도 무료로 탈 수 있게 하겠다, 또 배우자를 간병하면 월 100만 원을 지원하겠다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. <br> <br>노인 표심 공략한 건데요. <br> <br>실현 가능할까요? <br> <br>체크맨 권경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><br>[기자] <br>65세 이상 노인은 지하철을 공짜로 탈 수 있습니다. <br> <br>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노인 무임승차를 지하철뿐 아니라 버스에도 적용하겠다고 공약을 발표했는데요. <br><br>실현 가능한지 체크 해보겠습니다.<br> <br>서울 시내버스 요금은 일반 성인 기준 1500원입니다. <br> <br>김문수 후보는 출퇴근 시간이 아닌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65세 이상 노인은 무료로 탈 수 있게 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일단 어르신들은 반깁니다. <br> <br>[이명우/경기 고양시] <br>"매일 버스를 타게 되는데 그것도 만만치가 않더라고요. 지하철은 무임인데 버스는 요금을 내야 하니까." <br> <br>[전진수/경기 수원시] <br>"집에서 나오면 버스 정류장이 가까우니까 버스를 타고 또 역까지 가고 이런 식으로 하니까 버스가 유용하고 좋은데." <br> <br>서울, 부산 등 6개 대도시에만 있는 지하철과 달리 전국에 다 적용되고 걷고 계단 오르내리는 일도 줄어들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65세 이상 고령층 절반 가까이가 버스를 주로 타는 만큼 체감 효과도 클 수밖에 없습니다.<br> <br>문제는 예산입니다. <br> <br>무임승차로 발생한 지난해 전국 지하철 적자만 7200억 원이 넘습니다. <br> <br>전국 단위 버스 무임승차는 더 많은 돈이 들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국민의힘 관계자는 "국비·지방비에서 일정 비율을 마련해 재원을 확보할 것"이라며 "구체적인 규모는 논의 예정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치매를 포함해 모든 질병 대상 간병비 지원도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. <br> <br>간병 가족에게 월 50만 원을 주고 만약 간병인이 65세 이상 배우자라면 월 100만 원까지 지급합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"기존 요양보험에서 보호사에 줄 것을 가족에게 지급하는 것"이라며 "따로 재정이 늘어나진 않을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권경문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기상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권경문 기자 moon@ichannela.com